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장년 선호 1위 자격증, 지게차운전기능사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웅남 2024. 2. 5.
2020년 우리나라 50세 이상 남성들이 가장 많이 딴 국가기술자격증은 지게차운전기능사였다. 1만 616명이 취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게차는 다른 중장비에 비해 장비 조작이 비교적 쉽고, 운전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

 

 

지게차는 소형 지게차와 일반 지게차로 구분할 수 있고 취득 과정도 다르다.

3톤 미만 소형 지게차

3톤 미만 소형 지게차

별도 시험 없이 이론 6시간, 실기 6시간 등 총 12시간의 교육 과정을 수료하면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하는 소형 지게차 면허 취득이 가능하고, 조종이 가능하다. 

 

일반 3톤 지게차

지게차운전기능사란?

지게차를 운전하기 위해 취득하는 자격증입니다.

지게차운전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지게차운전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응시자는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필기시험은 객관식, 실기시험은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모두 기준점에 통과해야 최종합격입니다.

하는 일

지게차운전원은 생산 현장이나 창고, 부두 등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고, 화물의 운반을 위해 지게차를 운전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지게차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 방법

기존의 검정형 자격증 시험은 필기·실기시험으로 구성돼 있다.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만 받으면 합격할 수 있다. 필기시험 난이도는 일반적인 자동차 운전면허시험으로 생각하면 큰코다치기 쉽다. 필기시험 합격률이 50% 정도밖에 안 되므로 공부는 필수다.

다행히 2020년 1월부로 출제 문제가 이론 중심에서 실무 중심으로 개편됐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지게차 주행, 화물 적재, 운반, 하역, 안전 관리에 대한 문제가 출제된다.

실기시험은 4분 이내에 정해진 코스를 주행하며 화물 적재, 운반, 하차 등을 해야 한다. 실기시험의 포인트는 시간과의 싸움이다. 짧은 시간 안에 정해진 작업을 완료해야 하기 때문에 지게차를 여러 번 운전해 보며 잔 실수와 긴장감을 줄이는 것이 좋다.

지게차운전기능사 시험은 상시 검정 시행 종목으로 상세한 시험 일정 정보는 큐넷(Q-net)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q-net.or.kr/큐넷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하며, 국가 자격시험 원서 접수, 합격자 발표, 시험 일정 등을 제공하는 웹사이트다.

 

Q-Net 자격의 모든 것

 

www.q-net.or.kr

 

지게차운전기능사 합격률

 

이제 필기, 실기 합격률을 알아보겠습니다.

필기시험 합격률: 약 55~75%

실기시험 합격률: 약 47~50%

아직 2023년 합격률은 나오지 않았지만, 수치가 크게 달라질 거 같진 않습니다.

 


지게차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게차뿐만 아니라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응원하겠습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